내일 일은 내일
퇴직금 계산하는 방법, 고용노동부 퇴직금계산기 활용! 본문
요즘 평생직장이란 말은 참 들어보기 힘들죠.
그만큼 한 직장을 오래 다니기보다 이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직의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직할 때 받는 퇴직금은 모든 사람들이 같은 마음으로 기대합니다.
한 회사에서 1년이상 근무하게 되면 나오는게 퇴직금입니다.
퇴직금 미리 설계하거나,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네이버에 '고용노동부' 를 검색합니다.
그리고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네이버에 그냥 퇴직금 계산기를 검색하셔도 나오지만,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좋겠죠?
홈페이지 메인에서 조금 밑으로 내리시면, 퇴직금에 관한 서비스가 있습니다.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쭉 내리셔서 마지막에 있는 '퇴직금 계산기' 로 들어갑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창이 뜹니다.
퇴직금계산이 어려우신 분들은, 옆에 퇴직금계산 예제를 보고 참고하시며 따라하면 됩니다.
그럼 하나하나 순서대로 해보겠습니다.
먼저 입사일자와 퇴사일자를 적으신 후 평균임금계산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퇴직일자는 마지막 근무날의 다음날을 입력하시고요,
재직일수 중 제외기간이 있다면 직접 수정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 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을 입력합니다.
기간별일수가 한 달이 되지 못하는 경우는, 월기타수당액을 기간별일수로 나누어 계산하시면 됩니다.
그럼 92일 기준 기본급과 기타수당의 합산이 바로 됩니다.
그리고, 연간상여금 총액과 연차수당을 입력합니다.
개인마다 회사마다 다르겠지요?
연차수당은 연차수당 지급기준액에 연차일수를 곱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평균임금계산 버튼을 누른 뒤, 퇴직금 계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대략적인 퇴직금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365)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해가 안 되는 분들은, 퇴직금 계산기 활용 예제를 보시면서 하시면 훨씬 쉽습니다!
퇴직금계산기를 통한 퇴직금 계산법 간단하죠?
계산기로 퇴직금을 미리 계산해보고 이직을 하시거나, 퇴직하시면 훨씬 도움이 되실 겁니다.
그 전에 기본급, 기타수당, 연간상여금총액, 연차수당 지급기준액, 연차일수를 알고 계셔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