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일은 내일
농협 토스, 국민은행 리브 사용법 비교! 본문
간편송금서비스가 비단 농협 토스(올원뱅크)와 국민은행 리브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이 2가지를 제일 많이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은행사에서 나온 어플이기 때문에 더 자주 사용하게 되는 것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직 사용하지 않는 분들을 위해! 토스와 리브 사용법을 비교를 해드리겠습니다.
주로 이용하는 은행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제일 좋지만, 좀 더 간편한 송금을 위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농협 토스 사용법 (어플 올원뱅크)
1. 올원뱅크에 들어가서 간단한 회원가입을 한 후에 로그인을 합니다.
좌우의 노란색 화살표를 눌러 송금할 계좌를 선택한 후에 '토스 송금' 버튼을 누릅니다.
등록한 계좌가 하나라면 '계좌사용등록'을 통해 사용하고 싶은 계좌를 추가 등록할 수 있습니다.
2. 토스의 1일 한도는 '50만원'입니다. 송금할 금액을 입력한 후, '받는 분'을 클릭합니다.
3. 받는 분은 '휴대폰번호/계좌번호'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계좌번호를 알면 조금 더 간편하지만, 몰라도 내가 가지고 있는 전화번호부에서 받는 분을 선택하면 됩니다.
4. 전화번호부에 받는 분이 별명이나 애칭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반드시 '실명'으로 입력해 줍니다.
5. 간편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송금이 완료됩니다.
그 후에는 꼭 메세지나 카톡으로 송금문자 발송을 해야 상대방이 받을 수 있습니다.
6. 카톡 창에서 '입금받기'를 클릭해 상대편이 송금받을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와 보안카드, 상대의 계좌번호도 필요없이 간단히 송금할 수 있습니다.
▣ 국민은행 리브 사용법 (어플 리브)
1. 올원뱅크와 마찬가지로 어플 설치 후 간단한 회원가입을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 후 좌측하단의 '보내기' 버튼을 눌러 송금을 진행합니다.
2. 리브의 1일 한도는 '30만원'입니다.
송금할 금액과 받는 분 '실명'을 바로 입력합니다.
3. 토스와 마찬가지로 간편비밀번호 6자리를 입력하면 송금이 완료됩니다.
역시 '받는 분께 메세지'를 꼭 보내야 합니다. 카톡으로 바로 연결됩니다.
4. '앱 설치 없이 바로 받기/리브머니 받기'를 눌러 송금 받을 수 있습니다.
앱 설치 없이 바로 받기를 누르면 리브머니 앱이 없는 분들도 링크 페이지를 통해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토스와 마찬가지!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상대 계좌번호를 몰라도 송금이 가능합니다.
토스와 리브의 사용법을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사용법은 순서에 따라 진행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마지막으로 토스와 리브의 장단점을 비교, 정리한 후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 토스와 리브의 장점(간편송금장점)
1. 공인인증서가 필요없다.
2. 보안카드가 필요없다.
3. 상대편 계좌번호를 몰라도 된다.
▣ 토스 장·단점 (리브와 비교)
장점 : 1일 한도가 크다. / 계좌를 여러 개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단점 : 받는 분도 올원뱅크 어플이 있어야 한다. / 리브에 비해서는 송금방식이 불편하다.
▣ 리브 장·단점 (토스와 비교)
장점 : 받는 분이 리브어플이 있든 없든 송금 받을 수 있다. / 송금방식이 정말 간편하다.
단점 : 토스에 비해서는 1일 한도가 적다. / 등록할 수 있는 계좌가 하나뿐이다.